처음에는 열거해보았는데, 뚜렷한 규칙이 있어 보이지 않았다. 그러다가 검색을 통해서 이것이 브루트포스 알고리즘에 속한다는 걸 알았다.
boj를 유형별로 접근하지 않아서, 풀지 않았던 유형은 계속 약하다. 이것을 기말고사가 끝나면 나눠서 만나보아야겠다. 대표적으로 브루트포스.
인터넷에 검색해 보고 이래저래 놀란 해답이라서 메모장에 써두기라도 해야겠다.
Point
if "666" in str(movie):
N-=1
이 기능이 없는 경우에는, 나머지 연산자와 나누기 연산자를 적절히 사용해서 6이 아니면 떼어내고 6을 만나면 검사하면 될 것이다.
위 사항에 참고한 코드는 파이리썬의 파이썬 블로그에서 보았습니다. 멋진 코드 감사합니다.